<p></p><br /><br />우아한 자태로 백로는 길조로 불립니다. <br> <br>하지만 천 마리가 떼로 둥지를 틀어 문제가 되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. <br> <br>도시 개발에 밀려난 백로가 서식지를 바꿔가며 몇 년째 되풀이되는 현상입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김철웅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흰 새떼가 숲을 뒤덮었습니다. <br> <br>백로떼가 빼곡한 이곳은 한적한 농촌도, 인적이 드문 곳도 아닙니다. <br> <br>직선거리로 50m, 도로만 건너면 420세대 아파트 주민들이 사는 도심입니다. <br> <br>바로 옆엔 초등학교도 있습니다. <br> <br>[김철웅 기자] <br>"집단 서식지 바로 앞이 차가 지나다니는 도로입니다. 길을 걷다 보면 이렇게 방치된 사체도 있습니다.” <br> <br>매년 3월에 날아들어 여름을 지낸 뒤 떠나는 백로. <br> <br>그 사이 주민들은 더위에도 창문도 열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아파트 주민] <br>“새똥 냄새가 상당히 많이 나서 문을 열면 냄새가 확 올라오니까 창문을 못 열 정도로 심합니다. 아파트 난간에 앉아 있을 때도 있고.” <br> <br>상황이 이렇게 된 건 2년 전 백로 서식지 일대에 아파트가 들어선 이후부터입니다. <br> <br>"백로가 실제로 얼마나 많은지 전문가와 함께 둘러보겠습니다.” <br> <br>[조삼래 / 공주대 생명과학과 명예교수] <br>"밑에 풀이 없지 않습니까. 배설물이 페인트 뿌리듯이 분사돼요. 이 나무까지 고사하게 됩니다. 시간이 지나면요.” <br> <br>집단 서식하는 백로 특성상 약 1천 마리가 한꺼번에 모여 있다 보니 새소리도 소음이 됐습니다. <br> <br>“새끼가 먹이 달라고 조르는 소리가 있어요. 깩깩하고. 소음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” <br>(이 소리요.) <br> <br>“서식지 한가운데입니다. 나무 한 그루당 백로가 열 마리 넘게 있어 밀집도가 높습니다. 야산인데도 깃털이나 흔적들 때문에 흰색으로 보일 정도입니다. 저도 잠깐 있었는데 배설물을 맞을 정도로 개체 수가 굉장히 많습니다.” <br> <br>해가 지고 서식지로 돌아온 직후 새들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합니다. <br> <br>[조삼래 / 공주대 생명과학과 명예교수] <br>“지금은 농경지나 냇가에서 먹이를 먹는 시간이고 일몰 시간 7시 전후로 잠자리로 옵니다.” <br> <br>퇴근 후 편히 쉴 시간에도 소음 스트레스를 받습니다. <br> <br>[아파트 주민] <br>“밤에 새들끼리 싸우는 소리랄까. 깍깍. 차에다가 똥을 떨어트리는 경우도 있는데.” <br> <br>민원이 계속되지만 개체 수를 줄일 방법은 딱히 없습니다. <br> <br>나무를 모두 베어봤지만 가까운 숲으로 이동하는 결과만 나왔습니다. <br><br>청주시 일대 백로도 이런 식으로 10년간 3번이나 서식지를 옮겼습니다. <br> <br>[박학래 / 청주시 자연보전팀장] <br>“서식지 이전은 현실적으로 어렵고요. 다른 쪽으로 가면 그쪽 분들 피해 보는 건 마찬가지니까. 현재로서는 사체 치우고 분비물 청소를 깨끗하게 해서.” <br> <br>대전시도 도심 공원에 있는 백로를 쫓기 위해 아예 나무를 없앴는데, 5km 떨어진 대학교 안에 다시 둥지를 틀었습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도시가 무분별하게 확장될수록 서식지를 뺏긴 야생동물이 골칫거리가 되는 사례가 빈번해질 거라고 경고합니다. <br> <br>"해질 무렵이 되자 새들이 서식지로 돌아오고 있습니다. 소리도 더 시끄러워졌습니다. 새들과 공존하려면 인적이 드문 곳에 녹지공간을 확보해서 새들을 유인하는 대책이 유일합니다. 현장카메라 김철웅입니다.” <br> <br>woong@donga.com </a><br>PD : 김종윤 <br>영상취재 : 김명철